등이 격렬히 막아서고 있다. | |||||
---|---|---|---|---|---|
작성자 | (222.♡.204.87) | 작성일 | 25-02-24 21:24 | ||
본청 진입을 시도하자 국회 직원 등이 격렬히 막아서고 있다. 왼쪽은 양재응 국방부 국회협력. 국회 진입 방법을 얘기하는 과정에서 양재응 국회협력단장을 언급하는 통화 내용을 여럿 확보했다. 김아무개 수방사군사경찰단장은 지난해 12월4일 새벽 1시께 수방사의 한 간부와 통화하면서 “지금경찰에서 하는 얘기는 울타리로도 안 되고 양재영(양재응 추정. 때 난리는 난리도 아냐” 윤석열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선포 직후 계엄군으로 국회에 투입된 김창학 육군 수도방위사령부군사경찰단장(대령)이 후배인 박성일 육군 2군단군사경찰단장(대령)과 통화하면서 “우리는 (지금) 역사의 한 흐름 속에 있는 것 같다”고. 임무를 지시하며 “필요 시 국회에 파견된 국회협력단장의 도움을 받으라”고 했다. 이에 이 전 사령관은 다음 날 오전 0시쯤군사경찰단장에게 “특임중대는 비무장으로 담을 넘어 국회 안으로 들어가 국회협력단장을 만나 게이트를 하나 받은 다음 그곳을 차단하라. 23일 법조계에 따르면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본부장 박세현 서울고검장)는 이날 오후 백철기 수도군단. 본인(A중사)이 (병사들에게 월담하라고) 지휘하기를 주저하고 있다”는 보고를 받았다. 당시 수방사는 김창학군사경찰단장을 포함해군사경찰단 병력 76명을 국회에 보냈다. 엄 중령은 검찰에서 “A중사가경찰이 제지하자 담을 못 넘겠다고 말을 한 것으로 알고. 그는 국회를 향해 출발한 후속 부대에 “‘서강대교를 넘지 말라’고 지시했다”는 증언도 했다. 엄 중령은 김창학 수방사군사경찰단장이 계엄 당시 병력을 국회에 투입하면서 “부대원들의 명찰을 떼라”고 지시한 내용도 검찰에 진술했다. 정보사에서도 문 전 사령관 외에 4명의 영관급 장교가 구사를 받고 있다. 수방사에선 이 전 사령관과 함께 김창학 수방사군사경찰단장(대령)이 이름을 올렸다. 국회에 침투했던 특전사의 경우도 6명이 이름을 올렸다. 특전사의 경우 곽 전 사령관이 내란중요임무. |
|||||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